본 연구실은 현재 냄새와 후각 영역의 최전선에서 새로운 길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.
그동안 주목 받지 못했던 냄새와 후각 연구에 첨단 기술과 의학/산업의 융합을 통해 혁신적인 의료기술 및 산업기술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.
▶ 본 연구실 장점
1.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까지 모두 다룰 수 있는 전문가 양성 목표
- 하드웨어 부분: 전자코
시스템, 생체 신호 측정 시스템, 센서 개발, 에너지 전극 개발, 발향장치 등
- 소프트웨어 부분: 신호
처리 및 분석, 분석 알고리즘, 전자코 인공지능 학습, 후각 시각화 모델, 생체 모델링 등
2. 본 연구실은 상위 국제 학술지에 연평균 7편 이상 게재하고 있어, 일반적으로 학위 과정 동안 학생 당 매년 1~2편 이상 논문을 게재 하고 있음
3. 생명과학을 전공하고, 약학대학에서
학위를 받고, 미국 의과대학에서 박사 후 연수과정을 거쳐 공과대학에서 교수를 시작한 독특한 이력
- 바이오 기반의 공학을 융합하는 본 연구실만의 분야를 만들어 가고
있어, 바이오 전공자는 공학적 응용 능력, 공학 전공자는 생물(바이오)학적
응용 능력 배양 가능
4. 하나의 주제를 상위 학술지 게재를 위한 전략과 상용화 전략으로
나누어 연구 진행: 학술적
및 상용화 접근방식 및 해결 역량 배양
▶ 대학원 과정
1. 본 연구실은 한양대 의과대학 의학과 및 공과대학 디지털의료융합학과
지원 가능
- 의과대학 의학과: 이학석사/이학박사
- 공과대학 디지털의료융합학과: 이학석사/이학박사, 공학석사/공학박사
2. 의공학과, 소프트웨어관련 학과 (컴퓨터공학,
인공지능학과 등), 전자공학과, 생명공학과, 재료공학과, 생명과학과를 포함한 다양한 전공 학생들의 지원 환영
3. 특히
학부 학생들의 인턴 적극 장려: 인턴
과정을 통해 대학원 주제를 정할 수 있어 입학 시 업적을 바로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음
▶ 주제 별 함량 기술
1. 전자코: 바이오/식품 배양 기술(생명과학), 센서
제작 및 센서 어레이 구성 기술(공학), 데이터 분석기술(인공지능)
2. 냄새 표준화 및 후각 디지털화:
생체신호 측정 기기 제작(의공학), 생체신호
측정(의공학), 신호분석 및 시각화 기술(의공학, 인공지능), 후각-뇌 신경회로 (생명과학/공학, 인공지능)
3. 전자약: 생체 모델링(전자공학, 의공학), 전기
자극기기 개발(전자공학, 의공학), 전임상/임상 유효성 분석 (생명과학/공학, 의공학), 기전
연구(생명과학)
4. 바이오에너지: 전극
제작 및 기능 측정 (생명과학, 전자공학, 재료공학, 에너지공학, 의공학), 효과성 검증 (생명과학/공학, 전자공학, 재료공학, 에너지공학, 의공학)